개인정보 보호를 위한 비밀번호 변경안내 주기적인 비밀번호 변경으로 개인정보를 지켜주세요.
안전한 개인정보 보호를 위해 3개월마다 비밀번호를 변경해주세요.
※ 비밀번호는 마이페이지에서도 변경 가능합니다.
30일간 보이지 않기
  • 전체
  • 일반뉴스
  • 오피니언
  • 메타TV

심부전 이어 심방세동까지…SGLT2 억제제 효과

메디칼타임즈=최선 기자당뇨병 약제로 시작해 심부전 치료제로 영역을 확장한 SGLT2 억제제가 심방세동에서도 효과를 보였다.심방세동으로 전극도자 절제술을 받은 환자에 SGLT2 억제제를 투약할 경우 심방세동 재발 비율이 현저히 감소했다.미국 매사추세츠 라히병원 심장혈관부 모흐드 라시드 아부카우드(Moh’d Rasheed Abu-Qaoud) 등 연구진이 진행한 제2형 당뇨병 환자에서 SGLT2 억제제가 카테터 절제 후 심방세동 재발에 미치는 영향 연구 결과가 미국심장학회 저널(JACC)에 9일 게재됐다(DOI: 10.1016/j.jacep. 2023.06.008).SGLT2 억제제는 소변 속에 남은 당을 소변으로 배출시키는 기전의 당뇨병 약제. SGLT2 억제제는 심부전에도 효과를 보여 적응증을 확대한 바 있다. 정확한 매커니즘이 밝혀지진 않았지만 심장의 충진 압력을 낮춰 심장에 이로운 영향을 미친 것으로 예측된다.연구진은 카테터 절제술을 받는 심방세동 환자들 사이에서 SGLT2 억제제가 효과적일 수 있다는 가설을 세우고 분석에 착수했다.TriNetX 연구 네트워크를 사용해 2014년 4월 1일부터 2021년 11월 30일까지 심방세동 절제술을 받은 18세 이상의 제2형 당뇨병 환자 1만 3340명을 대상으로 SGLT2 억제제 사용 여부를 확인했다.이 중 성향-점수 일치 결과가 일치하는 2225명의 환자를 추려 실제로 심방세동 재발 비율이 다른지를 비교하고, 추가로 심부전 악화, 허혈성 뇌졸중, 입원, 12개월 동안 사망 비율을 비교했다.분석 결과 AF 절제술을 받는 제2형 당뇨병 환자에서 SGLT2 억제제 사용은 심혈관 질환 및 심방세동 재발 감소에서 효과를 나타냈다.심방세동 재발은 SGLT2 억제제 투약군에서 619명(27%)이 발생한 반면 비 투약군에선 802명(36%)이 발생해 SGLT2 억제제 치료 시 32% 가량 위험도 감소가 관측됐다.12개월 사망 위험은 SGLT2 억제제 치료군이 15% 더 낮아지고 모든 원인 사망률은 38% 감소하는 등 부수적인 효과도 나타났다.연구진은 "제2형 당뇨병 환자에서 심방세동 절제 후 SGLT2 억제제를 사용하면 심방세동 재발 위험이 낮아진다"며 "부수적으로 사망 위험 감소 등의 효과가 관찰됐다"고 덧붙였다.
2023-08-18 12:25:22학술

젊은 AF환자도 카테터 절제술 '득'…입원 위험↓

메디칼타임즈=최선 기자50세 미만의 젊은 환자에서도 심방세동(AF) 치료용 카테터 절제술(전극도자 절제술)이 입원 위험 감소로 이어진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높은 시술 성공률과 낮은 합병률을 가진 만큼 약물 치료로 정상 심박동을 유지하는 AF 환자라면 카테터 절제술을 적극 고려할 필요성이 있다는 뜻이다.미국 미네소타 메이요클리닉 소속 앤드류 청(Andrew S. Tseng) 교수 등이 진행한 AF에 대한 카테터 절제술 전후 예후 변화 연구가 국제학술지 BMC에 투고됐다(doi.org/10.21203/rs.3.rs-1399820/v1).자료사진AF의 치료는 크게 정상적인 심박동을 회복/유지시키는 약물 치료와 RF에너지를 이용해 심장내 빈맥 발생 부위를 차단하는 카테터 절제술, 혹은 수술과 같은 방법이 있다.AF은 70세 이상의 약 5%, 80세 이상의 약 12%가 겪을 정도로 나이에 비례해 발생 빈도가 증가한다. 50세 미만의 젊은 환자에서의 심방세동 발생은 고령층 대비 상대적으로 적고 예후도 긍정적이어서 시술 대신 약물을 선택하는 경우도 적지 않다.연구진은 심장의 동리듬(Sinus rhythm)의 조기 회복이 예후 개선에 영향이 있을 수 있다는 선행연구에 착안, 50세 미만의 젊은 환자에서도 카테터 절제술 시행이 예후 개선에 영향을 미치는지 조사에 착수했다.연구진은 미국 전국재입원데이터에서 기록된 2016~2017년 AF 진단을 받은 18~50세 입원 환자 5만 2598명을 카테터 절제술(n=2146), 비 절제술군으로 나눠 재입원율, 모든 원인 재입원율, 허혈성 뇌졸중 및 모든 원인 사망률을 시술 1년 째 시점에서 비교했다.분석 결과 카테터 절제술을 받은 환자는 1년에 AF 또는 모든 원인에 대한 재입원율이 유의미하게 낮았다(HR 0.52, HR 0.81). AF 재입원율은 절제술 그룹에서 5.2%, 비 젤제술군에서 9.0%였다. 모든 원인에 대한 재입원률은 각각 17.2%, 21.3%였다.이같은 경향은 하위 그룹 분석에서 주요 인구 통계 등을 반영한 변수 조정 이후에도 일관되게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다만 두 그룹 모두 뇌졸중 또는 모든 원인 사망률에 대한 1년 재입원율에서는 차이가 없었다.연구진은 "젊은 AF 환자라도 카테터 절제술을 받으면 1년 AF 관련 및 모든 원인 재입원율이 감소한다"며 "다만 연구는 1년 결과로 제한했고 환자와 임상 결과 식별을 위해 ICD 코드에 의존했다"고 말했다.이어 "따라서 AF 유형 및 세분화된 환자 수준과 임상 정보가 다를 수 있다"며 "이러한 데이터는 RCT 임상을 통해 추가 검증할 필요가 있다"고 덧붙였다.
2022-06-15 12:13:50학술

프라닥사, 절제술 심방세동 환자 안전·유효성 평가 나선다

메디칼타임즈=손의식 기자 베링거인겔하임은 절제술(ablation)을 받는 심방세동(AF) 환자를 대상으로 지속적인 항응고 치료 시 항응고제 프라닥사®의 효능과 안전성을 와파린과 비교 평가하는 RE-CIRCUIT™ 임상 시험 등록을 시작했다고 9일 밝혔다. RE-CIRCUIT™ 임상에는 간헐적 또는 영구적 심방세동(AF) 환자 약 700여 명이 참여할 예정으로, 프라닥사® 150mg을 1일 2회 복용하는 환자와 와파린으로 치료받는 환자가 동일한 수로 무작위 배정된다. 절제술은 심장리듬을 정상화하기 위해 일반적으로 시행되는 최소 절개 시술이지만, 시술 도중과 이후에 환자들의 혈전 발생 위험이 증가하기 때문에 국제 가이드라인은 환자들이 비타민 K 길항제로 항응고 상태를 유지하면서 카테터 절제술을 시행하도록 권고하고 있다. 최근 몇 년 동안 지속적인 와파린 치료를 하면서 절제술을 시행하는 경향을 보이고 있으며 절제술 시술 후에도 뇌졸중 관련 위험을 줄이기 위해 수 주에서 수 개월 동안 항응고제 치료를 지속한다. 이에 따라 절제술 도중 지속적인 신규 경구용 항응고제 사용에 대한 안전성과 유효성에 관련된 연구 결과에 대한 의학적 필요가 높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RE-CIRCUIT™ 임상 운영위원회장이자 미국 볼티모어의 존스 홉킨스 병원 전기생리학 실험실 및 부정맥 서비스 소장인 심장학과 휴 칼킨스(Hugh Calkins) 교수는 "RE-CIRCUIT™ 임상은 심방세동(AF) 환자에게 절제술 시행 시 지속적인 프라닥사® 치료의 효능과 안전성을 이해할 수 있는 최초의 연구"라고 밝혔다. 그는 "프라닥사®는 심방세동(AF) 환자의 뇌졸중과 전신 색전증을 효과적으로 예방함을 보인 바 있으며, 이번 임상을 통해 현행 표준 항응고 치료제인 와파린을 대체하는 새로운 대안을 제공함과 동시에, 절제술 치료에 따른 관리를 간소화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RE-CIRCUIT™ 연구는 프라닥사®의 핵심 임상인 RE-VOLUTION® 프로그램의 일환이다. RE-VOLUTION® 프로그램 중 4개의 연구가 현재 진행 중에 있으며, 총 14개의 국제적인 제 3상 임상을 포함해 전 세계 44개국 이상의 국가에서, 5만 5000명이 넘는 환자가 포함될 예정이다.
2015-07-09 10:04:16제약·바이오

J&J, 카테터 절제술과 약물치료 다국적 임상

메디칼타임즈=이창진 기자존슨앤드존슨메디칼의 바이오센스 웹스터사는 23일 심방세동의 치료에 있어 카테터 절제술과 약물치료의 효능을 비교하는 세계적 임상 연구에 참여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심방세동은 전세계 약 2000만명이 앓고 있는 가장 흔한 심장 부정맥(심장 율동 장애) 질환 중 하나로 뇌졸중의 가장 흔한 원인이다. 심방세동의 치료에 있어 카테터 절제술이 약물치료 보다 효과적인지 아닌지를 평가하기 위한 목적으로 진행되는 CABANA 임상연구는 사망과 특이 장애, 과다출혈, 심장 마비, 심방세동 재발, 뇌졸중 위험, 삶의 질과 비용대비효과를 포함한 심방세동의 장기적 합병증에 대한 유용한 정보들이 전반적으로 비교될 예정이다. CABANA 임상 연구는 약 3000명의 무작위 환자를 대상으로 심박수 또는 심박동 조절을 위해 카테터 절제술을 받은 환자 군과 약물치료를 받은 환자 군으로 각각 나누어 3년간 진행된다. 연구 시작부터 결과 발표까지 6년이 걸릴 것으로 예상되는 임상연구는 미국, 캐나다, 유럽의 140개 의료센터가 참여하는 대규모 글로벌 임상으로 미국 메이요 클리닉 더글러스 패커 박사가 이번 연구를 주도하게 된다. CABANA 임상 연구는 심방세동을 위한 카테터 절제술과 약물치료를 비교하는 총체적 근거를 확보하는 한편, 사망률과 뇌졸중에 대한 장기적 위험요인을 평가할만한 근거가 부재했던 이전의 임상연구들을 대체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를 모으고 있다. 바이오센스 웹스터 마르샤 야로스 부사장은 “존슨앤드존슨메디칼은 환자와 내과의에게 뇌졸중의 주요 위험 요소인 심방세동의 치료 옵션에 관한 중요한 정보를 제공하게 될 획기적인 임상 연구"라면서 "연구에 대한 투자는 근거 중심 의학 원칙을 중시하는 기업 철학을 반영하는 것”이라고 말했다. 미국심장협회(AHA), 미국심장학회(ACC), 유럽심장학회(ESC)를 포함한 주요 학회들은 2006년 카테터절제술을 심방세동 치료의 2차 치료법으로 인정한 바 있다.
2009-06-23 10:48:20제약·바이오
  • 1
기간별 검색 부터 까지
섹션별 검색
기자 검색
선택 초기화
이메일 무단수집 거부
메디칼타임즈 홈페이지에 게시된 이메일 주소가 전자우편 수집 프로그램이나
그 밖의 기술적 방법을 이용하여 무단으로 수집되는 것을 거부하며,
이를 위반할 시에는 정보통신망법에 의해 형사 처벌될 수 있습니다.